반응형
중요한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침내 캐나다가 테이퍼링을 시작했습니다. G7선진국중에 처음으로 캐나다가 긴축의 예비단계를 시작한것입니다.
이제 연준의 행보를 유심히 봐야 하며 자산시장의 흐름도 더욱 긴밀히 살펴 봐야 합니다.
수없이 이야기 하지만 부동산, 주식, 가상화폐 모두 바로 이 유동성이라는 절대엔진에 의존하고 있다는것을 잊어버렸다가는 결국 큰 낭패를 보게 됩니다. 유동성의 핵심은 금리 즉, 돈가치이며 돈가치를 주도하는것은 당연히 기축통화인 달러입니다.
그럼에도 G7국가중 처음으로 캐나다가 테이퍼링를 선언하면서 긴축의 예비단계를 시작했다는것은 세계경제서열 7개국 안에드는 캐나다의 CAD (캐나다달러) 테이퍼링이 시작된것이니 분명히 의미가 있는것입니다.
캐나다 중앙은행(BOC)이 기준금리 인상의 신호탄으로 불리는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을 주요7개국(G7) 중 처음으로 단행했습니다. 경제 회복이 빠르고 고용 시장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위기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이에 빠른 백신 접종으로 경제활동이 재개된 것은 물론 생활 물가까지 꿈틀거리고 있는 미국도 예상보다 빨리 긴축 기조로 돌아설 수 있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21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캐나다 중앙은행(BOC)는 오는 26일부터 캐나다 국채의 순매수 액수를 기존의 주당 최소 40억 캐나다달러(약 3조 5,700억 원)에서 30억 캐나다달러로 낮춘다고 발표했습니다.
또 기준금리를 현행 0.25%로 동결했지만 금리 인상 예상 시기를 공식적으로 2023년에서 2022년 하반기로 앞당겼습니다. BOC는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sustainably) 2%를 유지하면 기준금리를 인상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는데, 이 시점이 예상보다 빠를 것이라고 내다본 것입니다.
캐나다가 테이퍼링에 나선 것은 경제가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이날 BOC는 올해 성장률로 이전 예측치보다 2.5%포인트 상향한 6.5%를 제시했습니다. 캐나다 기업과 가계가 팬데믹에 예상보다 탄력적으로 적응하고 있다는 이유에서입니다.
특히 고용 시장의 회복세가 눈에 띕니다. 취업 가능 연령 인구 중 취업자와 구직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경제활동참가율은 지난달 65.2%를 기록해 팬데믹 직전 수준(65.5%)까지 따라잡았습니다. 안정적인 일자리로 분류되는 정규직 일자리도 지난달 17만 5,400명 늘었습니다. 2월 증가분(8만 8,200명)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입니다.
이제 관심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입에 모아지고 있습니다. 미국도 캐나다처럼 경제 상황과 고용 시장의 회복이 뚜렷하기 때문입니이다.
이날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백신 접종 대상인 성인 세 명 중 한 명이 1회 이상 백신을 접종했다고 밝혔습니다. 집단면역 달성이 점차 가까워지자 주정부와 기업도 경제활동 재개를 위한 채비에 나서고 있습니다.
한때 코로나19 최대 피해 지역이었던 뉴욕시는 6월부터 기존 관광 홍보 예산의 10배인 3,000만 달러를 투입해 관광객 유치에 힘을 쏟게됩니다. 아메리칸항공과 유나이티드항공 등 주요 항공사도 파일럿 채용 계획을 발표하며 비행 수요 증가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이 팬데믹 이후 줄어든 일자리의 60%밖에 회복하지 못했다고 평가했지만 고용 회복세는 확실합니다. 지난주 미국의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57만 6,000명으로 팬데믹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무엇보다 미국 생활 물가가 꿈틀거리고 있다. 코카콜라가 원재료 상승을 이유로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 계획을 밝힌데 이어 프록터앤드갬블(P&G)도 아기용품과 여성용품의 가격을 올린다고 이미 발표했습니다.
이에 지난달 전년 동기 대비 2.6% 오르며 2018년 8월 이후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했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더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 시점으로 제시한 ‘상당기간 인플레이션 2% 유지’가 예상보다 빨리 올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앞서 지난 3월 연준은 금융권의 국채 매입을 쉽게 했던 보완적 레버리지 비율(SLR) 완화 조치를 연장하지 않았습니다. 사실상 제한적 테이퍼링을 향한 첫 걸음을 뗐다고도 볼수있습니다.
지난 8일에는 파월 의장이 “경제 진전이 빨라지면 정책에 대한 조정이 빨리 이뤄질 수 있다”는 내용의 서한을 릭 스콧 상원의원에게 보냈습니다.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광재 반박 은성수 (0) | 2021.04.24 |
---|---|
일론머스크 탄소세 이슈 (0) | 2021.04.24 |
비트코인 전망 (2) | 2021.04.23 |
카카오페이 상장 코스피 (0) | 2021.04.22 |
토지거래허가구역이란 4곳 지정 (0) | 2021.04.22 |
종근당 주가 악재 제품 판매중단 (0) | 2021.04.2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