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아파트 시세 4주째 하락을 하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요소가 있지만 무려 70%급등한 공시가에 대한 보유세부담, 그리고 무엇보다도 정부차원의 공무원과 공공기관 근무자들에 대한 세무조사와 부동산 투기조사로 인해 수요세가 위축된것으로 보입니다.
끝없이 오르기만 하는 자산은 지구상 어디에도 없습니다. 그런 자산이 있다면 모두가 다 부자가 되었겠죠?
세종시 아파트 뿐일까요? 강남, 서울, 수도권 부동산 결국 큰 싸이클로 보면 시기의 문제일뿐 본격적인 조정은 반드시 옵니다. 그리고 그 시기도 멀지 않았다고 느껴집니다.
본격적인 조정은 필연적이며 조정이 찾아 왔을때 손실을 최소하 하며서 현명하게 대처를 할수 있도록 미리 준비를 했느냐, 못했느냐가 결국에는 성공과 실패를 좌우한다고 봅니다.
● 세종시 아파트 시세 4주째 하락
지난해 집값 상승률 1위였던 세종시가 4주째 하락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전남이 지난 2월 마지막주에 한 차례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한 것을 제외하면 올해 들어 주간 기준 아파트 가격이 하락세를 보인 건 17개 시도 가운데 세종이 유일합니다.
1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세종시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달 셋째주 주간 기준 0.1% 떨어지며 2019년 10월 이후 1년 7개월여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이어 –0.05%, 0.00%로 내림 폭을 좁히며 반등 가능성을 보였으나 이달 7일 기준 전주보다 0.04% 하락하며 상승세로 돌아서지 못했습니다.
지난해 역대급 가격 상승으로 전국 아파트 시장을 선도했던 세종시는 올해 1월부터 다소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세종의 아파트값 주간 상승률은 지난 1월 첫째주 0.24%로 전국 평균(0.27%)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2~3월 0.2%대 아래로 내려가며 0.25% 안팎의 상승률을 보인 전국 수치와 격차를 벌렸습니다.
그리고 변동률 격차는 4월부터 크게 늘어나며 지난달에는 0.3%포인트 수준까지 확대됐습니다. 서울·수도권·광역시는 물론 다른 지방과도 차이가 큽니다. 지난 7일 기준 아파트값 변동률은 전남(0.09%)을 제외한 15개 시도가 0.1%를 상회했습니다.
● 공시가격 70%급등과 공직자 부동산 투기조사
가격 단기 급등에 따른 피로감이 누적된 데다 올해 공시가격 인상으로 세 부담이 늘면서 시장에 매물이 많이 늘어난 여파로 풀이됩니다. 여기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직원의 부동산 투기 의혹 이후 공직사회 전반에 대한 부동산 투기 조사가 이뤄지면서 세종시의 주된 매수층인 공직자의 매수심리가 위축된 영향도 크다는 분석입니다.
고운·다정동 등에서 매물이 누적되고 호가가 하락하며 전반적인 시세를 떨어뜨렸다고 부동산원은 보고 있습니다. 높은 보유세 부담 때문에 집주인들이 매물을 내놓고 있다는 것입니다. 세종시 아파트의 올해 공시가격은 전년보다 무려 70.68%나 올랐습니다.
다정동 A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지난달 다주택자, 일시적 2주택자 매물이 동시에 나오면서 호가가 꽤 떨어졌다”며 “여전히 매물이 남아 있어 추가 조정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습니다.
실거래가 흐름은 오름세와 내림세가 혼재돼 있지만 매물 누적이 많은 단지를 중심으로는 하락 추이가 뚜렷합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고운동 가락마을17단지 전용면적 59.92㎡는 지난달 네 번의 매매거래가 체결됐는데 가격은 4억9500만원(1일), 4억9300만원(15일), 4억8500만원(19일), 4억6000만원(21일)으로 점점 떨어졌습니다. 해당 평형 아파트의 4월 실거래가는 5억원이었으며 지난해 12월에는 5억3000만원에도 손바뀜한 바 있었습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올해 세종시 아파트 입주가 7668가구 정도로 지난해 4062가구보다 증가한 데다 가격 급등에 대한 피로감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매수 움직임 자체가 사라졌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부동산원에 따르면 세종의 매매수급지수는 이달 7일 기준 85.7로 지난 2019년 7월 말 이후 2년 10개월여 만에 가장 낮았습니다. 지난해 8월 130.7까지 치솟았던 이 지수는 올해 1월 105.4를 기록한 뒤 3월 말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 4월 초 100 선 아래로 내려왔고 두 달 만에 80대 중반까지 떨어졌습니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의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것으로 ‘0’에 가까울수록 공급이 수요보다 많음을, ‘200’에 가까울수록 수요가 공급보다 많음을 의미한다. 100 이하는 매도심리가 강하다는 의미입니다.
박합수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세종시의 주력 매수층은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근무자인데 이들에 대한 세무조사, 부동산 투기조사 등이 대대적으로 진행되지 않았냐”며 “매수주체가 심리적으로 위축되면서 움직임이 둔화됐고 관망세를 보이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세종 아파트 시장의 약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다만 입주물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매수세가 다시 붙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함 랩장은 “내년에는 세종시 입주물량이 2157가구로 줄어들 예정이라 (매매가격) 하락세가 지속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래미안 원베일리, 분양완료 161:1 (0) | 2021.06.18 |
---|---|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6월까지 등기시 분양권 제공 (0) | 2021.06.16 |
공공재개발, 거주의무기간 2년 확정 (0) | 2021.06.15 |
서울 집값 주춤, 규제강화 금리인상 예고 (0) | 2021.06.13 |
도지코인 거래소 폐쇄로 돈날림 (1) | 2021.06.03 |
남양유업 매각, 시간외 상한가 (0) | 2021.05.27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