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탄소배출권 관련주 와 ETF가 갈수록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세계각국이 앞다퉈 '탄소 제로' 정책을 내놓으면서 탄소배출권의 가격이 치솟고 있기때문입니다.
이에 탄소배출권 관련주와 관련 ETF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개별종목에 대한 리스크투자보다는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탄소배출권 선물 가격을 추종하는 ETF(상장지수펀드)에 개인투자자들도 손쉽게 투자할 수 있어서 많은 관심이 가고 있습니다.
증권사들은 '탄소 배출권과 투자 기회' 보고서에서 기후 변화에 대응해 투자 전략도 바뀔 필요가 있다며 관련 ETF에 관심을 가질 것을 권했습니다.
■ 해외 탄소배출권 관련주 ETF
1) KRBN
유럽(EUA), 미국 캘리포니아(CCA), 미국 북동부(RGGI) 시장의 탄소배출권 선물 가격으로 구성된 IHS 마킷 글로벌 카본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11일(현지시간) 기준 크레인쉐어즈 글로벌 카본 ETF(KRBN)의 올해 수익률은 43.7%에 달합니다. 지난해 7월에 상장된 뒤 꾸준히 자금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오늘 차트를 살펴보자면 6개월전인 2020년 11월 20일 20.88달러에서 현재 36.65달러로 무려 76%나 상승했습니다.
사실 유럽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탄소배출권 시장(시장 비중 74%)입니다. 유럽의 ETS(탄소배출권) 가격은 올 초 톤당 32.72유로에서 54.2% 급등한 50.45유로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탄소배출권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됩니다.
유럽연합(EU), 한국, 일본은 2050년까지 중국은 2060년까지 탄소 제로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습니다. 미국은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005년 대비 50% 이상 줄이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만약 기업의 에너지 전환 속도가 정부 정책 기준에 못 미친다면 탄소배출권을 확보해 이를 상쇄해야 합니다.
2) CRBN
아이셰어즈 MSCI ACWI 로카본 타깃 ETF(CRBN)는 탄소 배출을 실제로 줄이고 있는 기업에 주목하며 투자하는 ETF입니다.
이 ETF의 AUM(순자산)은 8억달러로, 탄소 배출 관련 ETF 중에서 시가총액은 가장 큽니다. 올해 수익률은 약 7.5%입니다.
6개월 수익률을 보자면 2020년 11월 19일 142.57달러에서 현재 161.99달러로 약 13%정도 상승했습니다.
CRBN은 매출 대비 탄소 배출량이 적거나 향후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투자합니다. 탄소 배출이 기업에 재무 부담이 되자 '위험'을 줄이는 기업에 투자하려는 것입니다.
이 상품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페이스북 등 주요 빅테크 기업을 위주로 담고 있습니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58.0%로 가장 많고, 일본(6.2%) 중국(4.7%), 영국(3.7%) 순입니다. 따라서 아무래도 빅테크기업의 주가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 국내 탄소배출권 관련주
우리나라도 올해부터 배출권 거래제가 3차에 진입하면서 관련 투자 기회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동안 배출권 할당 대상 기업과 정부가 지정한 시장조성자만 거래가 가능했습니다. 올해부터 5년간 진행되는 제3차 배출권 거래제 계획기간에는 배출권 중개회사(금융기관)와 일반 개인도 참여할 수 있게 됩니다.
환경에 대한 대응이 기업 가치에 현재 점점 강력하게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투자 측면에서도 기후변화 위기 대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지적되고 있습니다.
제 기후변화 협약인 교토의정서에 의해 우리나라도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과받을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관련주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온실가스(탄소배출권) 관련 종목은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저감장치나 탄소배출권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입니다.
1) 이건산업, 클라우드에어, 글로벌에스엠, 켐트로스
17일 주식시장에서 이건산업 주가는 전일대비 14.74% 오른 1만6350원, 클라우드에어는 전일 대비 1.88% 오른 1625원으로 상승했습니다.
다만 글로벌에스엠 주가는 전일 대비 3.33% 내린 1160원, 켐트로스는 전일 대비 1.46% 내린 6080원으로 하락했다.
그밖에 관련주로 SGC에너지는 상승한 반면 세종공업, 휴켐스, KC코트렐, 후성, 에코바이오 등은 하락했스습니다다.
2) 정부의 정책적의지
2012년 5월 18대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배출권거래제 관련 안건이 통과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2015년부터 탄소배출권거래제가 현재 시행중입니다.
그해 10월 제2차 녹색기후기금(GCF) 이사회 투표 결과 인천 송도가 유치 도시로 선정되면서 탄소배출권 분야가 시장에서 다시 이슈가 됐었습니다.
지난해 12월 문재인 대통령은 '2050 탄소중립 비전 선언' 연설을 통해 "산업과 경제, 사회 모든 영역에서 '탄소중립'을 강력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다.
또 저탄소 신산업 유망 업체들이 세계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대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해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강력한 의지를 밝혔습니다.
■ 개인적견해
이전부터 이야기했습니다. 향후 탄소배출권에 대한 투자기회가 확대될것은 너무도 자명합니다.
오바마전 미국대통령때도 기대가 많이 되었던 탄소배출권 투자영역이었으나 트럼프때 완전히 막혔던 것이고 이제 조 바이든 민주당측 대통령의 시대가 시작되면서 다시 탄소배출권은 관심을 한몸에 받을수 밖에 없습니다.
일론머스크의 말한마디로 자산시장이 들썩이 정도로 거물이 된데에는 바로이 탄소배출권의 확대와 관련이 있습니다.
일론머스크가 현재 진정으로 무엇에 관심을 두고 있는지 밑의 이전글을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일론머스크 탄소세 이슈
워낙 이슈를 잘 끌고 다니는 일론머스크인지라 그의 행보들에 관심을 가질수 밖에 없습니다. 적어도 투자자라면 어쩔수없이 그의 일거수 일투족에 집중할 필요가 있겠지요. 일론머스크가 다음
limereview.tistory.com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이퍼링 신호 미 연준 (0) | 2021.05.20 |
---|---|
이세돌 NFT, 2억 5천만원 낙찰 (0) | 2021.05.19 |
빅쇼트 주인공 테슬라 공매도 (0) | 2021.05.18 |
테더 (USDT) 정리 (1) | 2021.05.14 |
도지코인 전망 (1) | 2021.05.14 |
비트바이코리아 사기 (0) | 2021.05.12 |
최근댓글